146번째 강의 정리
J. Hsu, V. Kalesnik, E. Kose - What is Quality (2019)
> 각종 논문에서 나온 '우량주' 지표를 정리한 논문
* 지표를 연구할 때 주의할 점
- 금융논문계에서 어느 정도 연구가 되었는가 (해당 지표에 대해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는가)
- 미국 외 다른 시장에서도 적용 가능한가 (아이디어가 보통 미국에서 나오는데, 미국 연구자들이 미국 시장을 중점으로 연구하기 때문에 다른 나라에서도 적용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)
- 논문 발표 후에도 적용 가능한가
* 우량주를 정의하는 지표 7가지
1. 수익성 (자산 대비 수익이 잘 나는 기업, 高ROE)
2. 회계 품질 (회계가 투명한 기업)
3. 배당 성향 / 주식 발행 (배당을 많이 주고 주식 발행을 덜 하는 기업)
4. 투자 (자산을 무분별하게 늘리지 않는 기업)
5. 재무 구조 (유동 비율, 부채 비율 등을 고려)
6. 이익 안정성 (이익이 고르게 발생하는 기업)
7. 수익성의 성장 (ROE, ROA가 개선되는 기업)
1~4번째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나 4~7번째는 그렇지 않음.
* 우량주를 정의하는 기준이 각자 다르다
> MSCI, SMP, 블랙록 등이 우량주 ETF(스마트 베타 인덱스*)를 만들었으나 우량주를 판단하는 기준이 다 달랐다!
* 우량주 지표끼리 상관성이 마이너스인 지표들도 꽤 많다 (논문 27pg)
* 우량주란? (by 강환국)
- 주식 발행을 삼갈 것
- 자산 욕심이 없을 것
- 배당과 자사주 매입을 잘 할 것
- 고수익 프로젝트를 만들 것
- 회계 장난을 치지 않을 것
> 워렌 버핏이 추구하는 우량주와 거의 일치
< 용어 정리 >
- 스마트 베타 인덱스: 기존 ETF와 같이 시장을 추종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플러스 알파 수익을 추구하는 전략에 기초하는 운용 방식. 전통적인 시가총액가중 방식이 아니라 기업의 내재가치(Value)나 성장 모멘텀 (Momentum), 낮은 변동성(Low volatility), 고배당(High Dividend) 등 특정 요인을 활용해 지수를 가공한다. (출처-매일경제)
'LECTURE REVIEW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할 수 있다! 알고 투자] 초보 - 경제 성장률이 높은 국가에 투자하면 폭망한다 (0) | 2019.06.23 |
---|---|
[할 수 있다! 알고 투자] 초보 - 성공투자? 이 3개만 잘하면 돼! (0) | 2019.06.20 |
[할 수 있다! 알고 투자] 초보 - 주식시장에서 무조건 이기는 방법 (0) | 2019.06.20 |
[할 수 있다! 알고 투자] 초보 - 자산 배분의 모든 것 (0) | 2019.06.19 |
[할 수 있다! 알고 투자] 초보 - 주식투자 10계명 (0) | 2019.06.18 |